2018년 국내 외국인 지출 키워드는 ‘의료’
- 신한카드,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외국인 신용카드 지출액 데이터 분석 -
- 외국인 2018년 국내에서 9조 4천억원 카드 지출, 전년 대비 12.6% 증가
- 중국은 비중 감소했으나 1위 유지, 일본ㆍ대만ㆍ태국은 20%대 증가
- 개인병원 지출 급증세에 힘입어 의료부문 지출 전년 대비 38.2% 증가
신한카드(사장 임영진)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직무대행 김향자)이 ‘2018년 외국인 신용카드 국내 지출액’ 분석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외국인 의료관광 시장이 전년 대비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국내 지출의 업종별 분석 결과 의료부문 지출은 총 5,206억원으로 전년 대비 38.2% 증가했다. 외국인들의 국내 신용카드 이용 전체 규모(총 9조 4천억 원)가 전년 대비 12.6%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세 배 이상 빠르게 성장한 것이다.
특히 개인병원 지출은 전년 대비 67.6% 증가하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개인병원 지출 비중이 높은 중국과 일본은 의료부문 지출이 각각 68%, 56% 증가한 반면 종합병원을 주로 찾는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의료부문 지출은 각각 11%, 1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서울, 인천, 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의 의료부문 지출 비중은 92%에 달했다. 전 업종의 평균 수도권 비중이 85%인 것에 비해 더 집중된 모양새다. 특히 서울 의료부문 지출은 전년 대비 46% 증가해 수도권 쏠림 현상이 더욱 도드라졌다.
한편 중국은 전체 외국인 카드 지출의 36%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카드 지출 규모는 국제 이슈의 여파로 아직 2016년의 절반 수준이지만 일본, 미국, 대만, 영국 등 다른 주요 국가들의 지출액 증가에 힘입어 총 지출 규모는 상승세를 보였다.
김효정 신한카드 빅데이터사업본부장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협업을 통해 분석된 이번 자료는 향후 관련 분야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향후에도 관광, 스포츠, 지역축제 등 국내 여가 및 관광 분야 정책수립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지속함과 동시에 소비 트렌드, 핵심 상권 분석, 잠재고객 발굴 등 다양한 민간영역의 빅데이터 분석도 더욱 고도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별첨 상세자료]
< 18년 외국인 국내에서 9조 4천억 원 카드지출, 전년 대비 12.6% 증가 >
2018년 국내에서 사용한 외국인 신용카드 지출액 합계는 총 9조 4천억 원으로 2017년(8조 4천억 원) 대비 12.6% 증가율을 보였다. 여전히 2016년 카드 지출액(약 12조 원)에 미치지 않는 점을 보면 전년 대비 증가 추세는 ‘고고도미사일(THAAD)’ 배치 영향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

월별 지출액 현황을 살펴보면, 1~2월 지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1.3% 감소한 반면 3월부터 외국인들의 입국통계 증가와 함께 카드 소비도 증가세를 보이며 3~12월 지출액은 총 8조 1천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전체 36% 차지, 그 외 아시아 및 유럽 국가 지출액 증가 >
국가별 지출 규모를 보면 전체 카드 지출의 36%를 차지하는 중국 다음으로 일본(17.6%), 미국(17%) 순으로 지출액이 높았다. 최근 국제적 이슈에 따라 중국의 카드 지출 비중은 55%(2016년) 40%(2017년) 36%(2018년)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지만 상위 10위권 내 다른 주요 국가들은 지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영국의 카드 소비가 전년 대비 52% 증가했는데, 이는 2017~2018년을 ‘한영 상호교류의 해’로 지정하며 문화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가 민간 분야까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 고액지출에서 다양한 소매점의 저가 지출로 카드 소비 변화 >
업종별 지출 규모를 살펴보면 고액 지출에서 저가 지출로 외국인 카드 소비 특성이 변화하고 있다.
관광쇼핑, 숙박, 음식, 여행사 등 관광부문은 백화점ㆍ소매점의 화장품ㆍ관광상품 지출, 콘도미니엄과 모텔 등 저가 숙박 지출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전년 대비 38.2% 증가하며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한 의료부문은 개인병원 지출 급증(67.6%)이 성장세를 견인했다.

< 수도권 지출 비중 전체 85%, 제주 스포츠부문 지출 급증 >
지역별 지출 현황을 보면 서울, 인천, 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의 지출이 전체 85%에 달한다. 부문별로 지출비중은 차이가 있지만(스포츠 61%, 의료 92%) 대부분 수도권에 주요 지출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은 의료 지출이 전년 대비 46% 크게 증가했고, 제주는 실외골프장이 있는 콘도미니엄 시설에서 스포츠를 즐기는 카드 소비가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수도권 중 인천은 면세점 지출 감소 영향으로 전년 대비 9.1% 감소했다.

< 의료 부문 전년 대비 38.2% 증가, 아시아 국가들의 개인병원 지출액 증가 >
의료 부문은 총 5,206억원 지출로 다른 부문들에 비해 큰 폭(38.2%)으로 증가했다. 개인병원 지출은 전년 대비 67.6% 증가하며 전체 대비 비중(63%)이 종합병원 지출 비중(25%)의 2.5배를 넘어섰고, 중국과 일본의 의료부문 지출도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중증질환 치료 비중이 높은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의 의료 지출은 각각 11.0%, 11.9% 증가한 반면 개인병원 지출 비중이 높은 중국과 일본의 의료 지출은 각각 68.2%, 55.8%로 크게 증가했다. 중국의 경우 개인병원 지출이 종합병원 지출 대비 7배, 일본의 경우 11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2018년 외국인 신용카드 국내지출액 현황 분석 보고서 1부
<자료 개요>
자료 내용 : 2016~2018년 외국인 카드사(VISA, MASTER, American Express, JCB, 은련(銀聯))의 매월 지출액
분석 범위 : 카드 지출액 전체, 문화체육관광 분야(관광, 스포츠, 의료, 체험) 국가별ㆍ지역별 세부 분석
<자료 해석 시 주의사항>
외국인의 신용카드 국내사용 분석결과는 현금 사용의 특성이 배제되어 있습니다. 또한 지점별 매출액이 본점으로 집계되는 경우와 하나의 사업장의 지출이 여러 업종의 지출로 잡히는 경우가 있어(예를 들어 콘도미니엄과 실외골프장을 같이 운영하는 경우) 이에 대한 해석을 주의해야 합니다.